이건 그냥 개인적인 생각

1. 서버에서 현재 millisecond값을 value로 하여 authKey를 생성, 유저아이디를 키로 authKey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클라로 전송
 
2. 클라이언트는 받은 authKey를 가지고 signature를 생성한뒤 서버로 (signature, nonce, 메세지) 전송
  - nonce 는 클라이언트의 millisecond와 같은 값을 사용
  - signature 생성 : HMACSHA1(authKey,  nonce + 메세지)
 

3. 서버는 받은 nonce와 메세지를 이용해 서버에 저장된 authKey로 signature를 생성, 클라로부터 받은 signature와 일치하는지 체크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c/passwd 내용 노출  (0) 2015.09.03

게임 포털 웹서비스 조직에서 개발자 지원 업무를 하고 있었을때 발생한 보안 이슈였고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해 정리해본다.


1. 현상

사이트내 갤러리 게시판이고, 이미지를 클릭하면 다운로드하는 형태.

특정 url의 response 데이터에 /etc/passwd 내용이 노출되었다,

ex) http://xxx.xxx.com/xxx/xxx?param=file%3A%2F%2F%2Fetc%2Fpasswd



2. 원인

원래는 http://xxxxxx 식의 이미지 경로가 들어와야 하는 하며, 내부 로직에서는 들어온 파라미터를 이용해 

new Url("http://xxxx") 처리를 하도록 되어 있다. 문제는 파라미터로 들어온 file%3A%2F%2F%2Fetc%2Fpasswd

 url decoding을 하면 file:///etc/passwd 값인데 Url클래스가 로컬 파일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password 가 response 에 고스란히 노출되었던 것이었다.


3. 해결

기본적으로 XssFilter 적용이 되어 있어서 CRCF injection (http://www.acunetix.com/websitesecurity/crlf-injection/) 

공격과  directory/path traversal 도 되지 않도록 아파치 설정이 되어 있어 노출만 될뿐 추가적인 피해는 없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하도록 가이드하여 적용하였다.

 

1. 파일 확장자 체크 - 정해진 확장자만 허용  (.gif, .jpg, .png )

2. URL 클래스 사용시 새로운 객체 생성에서 url에 HTTP만 허용 (ftp, telnet, file 등은 사용하지 않도록)

 

 추후에라도 파일 다운로드를 하는 웹서비스를 할 경우 까먹지 말고 유의하도록 해야겠다.


연관 이슈

sql injection, xss, parameter manipulation, buffer overflows, directory/path traversal etc.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메세지 전송  (0) 2015.09.03



                                                                    그림. L4 DSR 처리 방식


클라이언트와 먼저 3way handshaking을 한 뒤 정상적이면 2차로 서버와 동일하게 3way handshaking을 하게 된다.

이 과정 후에 클라이언트가 http로 보낸 요청에 대해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게 되면 L4로 경유하지 않고 바로 L3 스위치를 통해

클라이언트로 응답을 내려주게 되는데 이때 L4에서는 이 최초 요청에 대한 여러 세션 정보중에 Destination IP가 실제 응답을 준
서버 아이피로 세션 테이블에 정보를 저장하게 되는데, 서버 혹은 클라이언트가 FIN 패킷을 보내어 L4가 받게 되면 세션 테이블에서
해당 세션 정보를 삭제하게 된다. 

만약 아파치에서 keepAlive를 켜지 않았을 경우에는 서버가 응답을 내려주고 FIN 패킷을 보내기 때문에 일반적인 PC환경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Round Robin방식으로 요청이 분산이 되지만 KeepAlive를 켤 경우에는 KeepAliveTimeout이 발생하지 않는한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 FIN을 보내지 않기 때문에 L4에 저장된 세션 정보의 Destination Ip를 보고 동일한 서버로 요청이 들어가게 된다.



* 주요 L4 Switch 설명

  1. SLB (Server Load Balancing)

       - 과거에 서비스를 했었던 방법으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보낼때와 서버에서 리턴될때 모두 L4 Switch를 거치기 때문에 과부하가 걸리는 서비스의 경우 DNS RR방식으로 서비스를 구성하기도 한다.

  2. GSLB (Global Server Load Balancing)

       - 특정 도메인으로 들어온 요청을 분산시키는 방법으로 도메인 네임에 대한 쿼리 요청에 대해 응답을 변형하여 지역적으로 분산시킨다.

  3. DSR (Direct Server Return)

       - 현재 인프라에서 적용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SLB 방식으로 인한 L4 Switch의 과부하를 막기 위해 서버에서의 응답이 바로 클라이언트로 보내도록 한다.  위의 그림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피 대역 계산 방법  (0) 2015.11.13

+ Recent posts